본문 바로가기
질병과 음식

고진음자(固眞飮子) 닭다리튀김

by 예당한의원 2025. 4. 8.
반응형

옛날 한자가 적혀 있는 종이 바닥 위에 옹기 약탕기 1개와 감초, 대추, 숙지황, 계피 등 한약재를 싼 첩약 2첩과 종이를 풀어서 바닥에 흩어놓은 첩약 2첩을 놓아두고 찍은 사진
한약

 고진음자(固眞飮子)의 처방은 다음과 같다. 숙지황(熟地黃) 6g, 산약(山藥) 인삼(人蔘) 당귀(當歸) 황기(黃芪) 황백(黃柏) 4g, 진피(陳皮) 백복령(白茯苓) 3g, 두충(杜仲) 감초(甘草) 백출(白朮) 택사(澤瀉) 산수유(山茱萸) 파고지(破古紙) 2g, 오미자(五味子) 10, 이렇게 고진음자(固眞飮子) 1첩을 지어 잘 씻은 뒤 말려서 가루 내어 같은 양의 녹말가루와 섞은 다음 닭다리에 이것을 묻혀서 튀겨내면 된다.

 

 고진음자(固眞飮子)라는 처방은 동의보감(東醫寶鑑)에 나오는 처방으로 몸이 야위고 기혈(氣血)이 부족해서 진땀이 나고 어지럽고 무기력(無氣力)하며 머리가 맑지 않을 때 쓰는 보약(補藥)이다.

 

한 젊은 남성이 오른쪽 손에 두루마리 휴지를 들고 왼족 손은 설사 때문에 아픈 배를 만지며 화장실을 가고 있는 것을 찍은 사진
설사

 여름이면 더 수척(瘦瘠)해지고 피로(疲勞)가 풀리지 않으며 항상 기대려 하거나 눕고 싶어 하고 식곤증(食困症)이 심하며 땀을 유난히 흘리고 뱃속이 얼음처럼 냉()하여 걸핏하면 배가 살살 아파오거나 설사(泄瀉)를 잘 하며 멍한 듯 머리가 빈 것 같고 여름감기에 잘 걸릴 때 아주 효과가 있는 처방이다.

 

 강력한 강정(强精), 강장(强壯) 보약(補藥)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