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방 칼럼274

해산물과 궁합이 맞는 식품 1. 굴과 레몬 굴은 어패류 중 여러 가지 영양소를 가장 이상적으로 갖고 있는 영양식품이지만 부패가 빠른 단점이 있다.  이것을 보완해 주는 식품이 바로 레몬이다.  굴에 레몬을 떨어뜨리면 나쁜 냄새가 가심은 물론 레몬의 구연산이 식중독(食中毒)을 일으키는 세균(細菌)의 번식을 억제하는 살균(殺菌)효과를 발휘하며 철분의 흡수 이용률도 향상시킨다.  그래서 빈혈(貧血)의 예방, 치료에도 효과를 발휘하고 식은땀을 많이 흘리는 허약체질에도 좋다.   2. 조개와 쑥갓 조개탕에 쑥갓을 넣으면 상큼한 맛이 조개의 시원한 맛과 잘 어우러져 영양의 균형과 시각적 효과가 상승된다.  조개는 단백질의 함량이 높고 지방의 함량이 적은 것이 특징이다.  조개와 잘 어울리는 쑥갓은 향이 독특하고 산뜻해 날로 먹어도 좋고 나물.. 2025. 4. 12.
육류와 궁합이 맞는 식품 1. 간(肝)과 우유 간(肝)은 조리를 하면 두 가지 문제가 생긴다.  첫째는 탄력성과 유연성이 변해서 씹는 감촉이 나빠진다는 것이고, 둘째는 냄새가 심하게 나서 기호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해 주는 것이 우유다.  조리 전 간(肝)을 한동안 우유에 담가두면 간(肝)의 나쁜 냄새와 맛이 상당히 제거된다.  게다가 물에 담가 두면 역삼투압(逆滲透壓) 현상에 의해 간(肝)의 일부 단백질과 무기질의 손실이 있을 수 있지만, 우유에 담가두면 영양소의 손실이 없어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스테이크와 파인애플 우리나라에서는 갈비나 불고기를 잴 때 고기를 연하게 하는 연육제로 배나 무를 사용하는데, 서양에서는 무화과나 키위, 파인애플, 파파야 등을 이용한다.  이중에서도 파인애플에.. 2025. 4. 11.
곡류와 궁합이 맞는 식품 1. 콩과 식초(食醋) 콩은 고단백식품으로 영양(營養)이 풍부하지만 소화흡수(消化吸收)가 어려워 날로 먹기 어렵다.  하지만 콩을 날로 먹을 수 있게 돕는 것이 바로 식초(食醋)다.  날콩과 식초(食醋)를 결합시키는 방법인데 이것은 식초(食醋)가 가지고 있는 몇 가지 역할 때문에 가능하다.  식초(食醋)는 위액(胃液)의 분비를 촉진해 단백질의 소화(消化)를 돕기 때문에 체내에서 소화(消化)가 잘 되지 않는 콩의 결점을 보완한다.   2. 쌀과 쑥 쌀은 녹말과 단백질, 무기질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백질은 식물성 식품 중 가장 우수하다.  게다가 오래 두고 먹어도 영양(營養)의 손실이 거의 없다.  하지만 지방, 섬유소, 칼슘, 철 등이 부족해 다른 식품에서 따로 섭취해야 하는 특징이 있다.  이것을 보.. 2025. 4. 10.
수삼(水蔘) 보양탕(保養湯) 수삼(水蔘)을 껍질 긁어내고 싹을 도려낸 후 토막을 내어 참기름에 볶다가 끓인 닭에 함께 넣고 뽀얗게 우러날 정도로 푹 끓여 먹으면 여름철 보양식품(保養食品)으로 그만이다. 물론 말린 백삼(白蔘)을 쓸 수도 있고 이때는 곡삼(曲蔘)보다는 직삼(直蔘)을 쓰는 것이 좋다. 곡삼(曲蔘)이란 수삼(水蔘)을 돌돌 말아 말린 것이요, 직삼(直蔘)이란 수삼(水蔘)을 쭉 펴서 곧게 말린 것이다. 그리고 이 때 대추(大棗), 밤(栗), 마늘(蒜)을 함께 넣으면 더 좋다.  대추(大棗)는 ‘보고 안 먹으면 늙는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항노화(抗老化) 작용을 하며 ‘밤에 우는 아이를 재우고 밤에 여자를 울린다.’는 얘기가 있을 정도로 신경안정제(神經安靜劑)이자 강력한 정력제(精力劑)로 손꼽히는 식품이다.  밤(栗)도 기력.. 2025. 4. 6.
홍소계육(紅燒鷄肉) 물에 불린 목이(木耳)버섯이나 다른 버섯 종류를 각각 같은 양을 준비한 뒤 짙게 썰어서 여기에 파, 생강(生薑), 김을 약간씩 넣고 내장(內臟)을 제거한 닭의 뱃속에 담아 꿰매서 큰 솥에 담는다. 물과 술을 각각 한 사발, 황설탕 120g, 간장 세 사발을 넣고 은근한 불로 삶는다. 국물이 적으면 술과 간장만을 넣는다. 이때 솥 밑이 타지 않도록 주의한다.  대단한 보양식(保養食)이며, 이 같은 요리 방법을 홍소(紅燒)하고 부르므로 일종의 홍소계육(紅燒鷄肉) 요리인 셈이다. 2025. 4. 5.
군계주(軍鷄酒) 싸움닭은 투계(鬪鷄)라고도 한다.  이 싸움닭 수놈을 일주일 밤낮으로 굶겼다가 죽여 털만 뜯고 술 두 되에 통으로 넣고 약한 불로 삶다가 꺼내 살만 잘게 저며 다시 술에 넣고 설탕, 마늘 각 600g 씩을 넣어 함께 조리면 엿 모양이 된다.  이것을 군계주(軍鷄酒)라고 한다.  1일 3회, 2수저씩 먹으면 싸움닭의 기개를 닮아 기력(氣力)이 용솟음친다.  오장육부(五臟六腑)가 보익(補益)되고, 특히 소장(小腸), 방광(膀胱)의 기능이 원활해진다. 2025. 3. 27.
속담으로 풀어본 재미있는 한방 건강 상식 1. 동방삭(東方朔)이는 백지장(白紙張)도 높다고 했다.  속담에 ‘동박삭(朔)이는 백지장(白紙張)도 높다고 하였다.’, ‘삼정승(三政丞) 부러워 말고 내 한 몸 튼튼히 가지라.’ 는 말이 있다.  동박삭(朔)이라면 세 살 먹은 아이도 안다는 삼천갑자(三千甲子) 장수(長壽)한 신선(神仙)이다.  그는 불로장생(不老長生)의 양생법(養生法)의 하나로 베개를 낮게 하다못해 땅을 세 치 파고 누워 잤기 때문에 백지장(白紙張)을 베고도 너무 높다고 투덜거렸다는 것이다.  그만큼 양생법(養生法)을 잘 지켜 장수(長壽)했으니 명예(名譽)와 부귀(富貴)를 탐하지 말고 오로지 내 한 몸 튼튼히 가지도록 양생법(養生法)을 잘 따르라는 뜻이다.  그런데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꼬부랑 고추 제 발 등에 오줌 눈다.’는 속담처럼.. 2025. 3. 25.
잘못 알고 있는 한방 상식 - 신음허증(腎陰虛症)은 신장(腎臟)이 나쁜 것이다? 한의사(韓醫師)가 진찰 결과를 말하면서 간(肝)이 나쁘다느니 신장(腎臟)이 약하다느니 했다고 해서 겁이 난 나머지 당장 병원으로 달려가 혈액검사(血液檢査)나 소변검사(小便檢査)를 받는 환자들이 있다.  검사 결과는 간(肝), 신장(腎臟) 모두 정상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환자는 한의사(韓醫師)가 엉터리 돌팔이라고 동네방네 떠들고 다닌다.  이것은 크게 잘못된 것이다.  한의사(韓醫師)가 말한 간(肝)이니 신장(腎臟)이니 하는 것은 해부학(解剖學)적 장기(臟器)일 경우도 있지만, 기능적(機能的) 장기(臟器)를 지칭하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간(肝)이 나쁘다면서 한의학적 진단명으로 ‘간기횡역(肝氣橫逆)’증상이라고 했다고 하면, 한의사(韓醫師)의 이런 진단이 사실인지 아닌지 혈액검사(血液檢査).. 2025. 3. 24.
잘못 알고 있는 한방 상식 – 녹차(綠茶)는 많이 마실수록 좋다? 녹차(綠茶)는 수명(壽命) 연장 효과가 있다고 한다.  일본의 한 박사는 ‘녹차(綠茶)를 하루에 10잔 이상씩 마시면 최소한 5~6세 정도 더 오래 살 수 있다.’고 한 심포지엄에서 발표한 바 있다.  이것은 9년간 일본 사이마타현에 거주하는 40세 이상 8,543명을 대상으로 생화학적, 면역학적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한 결과라고 한다.  또 녹차(綠茶)는 심혈관(心血管) 질환이나 암(癌) 예방에도 효과적이라고 하며, 중금속(重金屬)의 체내 축적을 억제하는 효과 또한 뛰어나서 카드뮴(cadmium)을 비롯하여 중금속(重金屬) 제거 및 해독(解毒)작용에 효과적이라고 한다.  따라서 공해(公害)에 무방비 상태로 방치된 현대인에게 녹차(綠茶)는 가장 반가운 구세주가 아닐 수 없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2025. 3. 23.
잘못 알고 있는 한방 상식 – 한약(韓藥)은 간장(肝臟)에 나쁘다? 정말 그럴까?  결론부터 말한다면 정말 그럴 수도 있다.  한약(韓藥)은 식물성 약재만 있는 것이 아니다.  동물성 약재도 있고, 광물성 약재도 있다.  그래서 어떤 약재에는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도 있고, 어떤 약재에는 부신피질(副腎皮質) 호르몬 유사작용을 하는 성분이 함유 되어 있는 것도 있고, 어떤 약재에는 중금속(重金屬)이 함유되어 있는 것도 있다.  그런데도 이런 것을 가리지 않고 정력(精力)을 돋운다느니 신경(神經)을 안정시킨다느니 하여 막무가내로 유해 성분이나 호르몬 함유 약재를 남용하다 보면 간(肝)기능이 약한 것을 더 약하게 만들거나 멀쩡한 간장(肝臟)을 하루아침에 병든 간장(肝臟)으로 만들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그 좋다고 하는 ‘해구신(海狗腎).. 2025. 3. 22.
잘못 알고 있는 한방 상식 – 인삼(人蔘) 먹고 열(熱)이 난다? 인삼(人蔘)의 학명은 파낙스(Panax)다.  우리말로 풀이하면 만병통치(萬病通治)라는 뜻이다.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이 학명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인삼(人蔘)은 영험한 신비의 효능을 지니고 있다.  로미오와 줄리엣에도 맨드레이크(mandrake) 얘기가 나오는데, 이것은 서양 인삼(人蔘)의 일종이요, 중세 유럽에서는 폭발적인 인기를 끌던 약재이다.  그저 영험한 약재로 그들은 여기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세계적으로 정평이 나 있는 것은 아무래도 고려 인삼(人蔘)이다.  중국 인삼(人蔘)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약효가 좋은 것이 우리 인삼(人蔘)이다.  그래서 옛 중국의 내로라하는 자들은 모두 우리 인삼(人蔘)을 선호했다  그러던 것이 요즘에는 중국 인삼(人蔘)이 우리 인삼(人蔘) 시장에서.. 2025. 3. 21.
잘못 알고 있는 한방 상식 – 녹용(鹿茸)을 많이 먹으면 머리가 나빠진다? ‘녹용(鹿茸)을 많이 먹으면 머리가 나빠진다.’는 말이 있다.  결론부터 내리자면 ‘그럴 수도 있다.’이다.  하나의 예로 라면을 끓일 때를 생각해 보자.  불을 세게 하고 냄비 뚜껑을 꼭 닫고 라면을 끓이다 보면 뚜껑이 들썩거리면서 국물이 흘러넘치게 된다.  이때 냄비 뚜껑을 살짝만 열어주어도 국물은 넘쳐흐르지 않는다.  같은 이치로 어린아이들은 체내에 열(熱)이 세지면 뇌(腦)에 영향을 받아 열성경련(熱性痙攣)을 곧잘 일으킨다.  까닭에 태어날 때부터 어린아이들의 머리는 숨구멍이라 해서 두개골(頭蓋骨)이 열려 있다.  정수리 앞쪽에 말랑거리는 부위가 숨구멍이다.  이것은 라면 끓이는 냄비의 뚜껑을 살짝 열어 놓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어 국물이 넘쳐흐르지 않듯이 열성경련(熱性痙攣)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2025. 3. 20.
질병(疾病)의 원인은 세 가지 독소(毒素)에서 비롯된다. 혈독(血毒), 수독(水毒), 식독(食毒)이 그것이다.   첫째, 혈독(血毒)은 어혈(瘀血)이다.  혈액순환(血液循環)이 원활치 못하여 생리 현상에 이상을 초래하는 울혈(鬱血) 현상이다.  이렇게 되면 안색(顔色)이 새까맣게 되고, 혀는 자주색이 되며, 피부(皮膚)가 거칠어진다.  두통(頭痛), 어지러움, 어깨 무거움, 귀울림, 목마름, 피로감(疲勞感)을 비롯해서 허리나 다리의 한냉감(寒冷感)을 자각하게 되며, 붉은 반점(斑點)이나 검푸른 색이 피부(皮膚)나 점막(粘膜)에 나타나고 정맥류(靜脈瘤)가 심해지며 때로 염증(炎症)을 잘 일으키거나 출혈(出血)이 잘 된다.  월경불순(月經不順)도 나타난다.  또한 배꼽 밑에 저항과 압통이 느껴지게 된다.  중풍(中風)이나 종양(腫瘍)도 혈독(血毒)에 의해 잘 생긴.. 2025. 3. 19.
방귀 이야기 방귀 뀌는 것을 부끄럽게들 여기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방귀는 누구나 뀌며 하루 두세 번 뀌는 것은 정상적인 생리 현상이며, 더구나 개복수술(開腹手術) 후에 첫 방귀가 나와야 이젠 안심이구나 할 정도로 장(腸)기능이 회복된 증거이므로 방귀야말로 ‘건강의 복음’ 그 자체이다.  방귀는 장관(腸管) 내에 차있던 가스가 항문(肛門)에서 배설되는 상태이다.  그래서 방귀를 억지로 참으면 하복부(下腹部)가 터질 듯 한 팽창감(膨脹感)으로 고통을 받게 된다.  까닭에 민망스럽게 여기지 말고 시원하게 뀌는 것이 상책이다.  방귀는 소리에 따라 종류가 다르고, 냄새에 따라 종류를 구별할 수 있다.  놀랄 만큼 큰소리로 한방에 터지는 방귀는 건강한 방귀요, 그러면서도 냄새가 덜 나는 방귀가 건강한 방귀이다.  방귀의 .. 2025. 3. 18.
건강한 정신(精神)은 완전한 건강(健康)을 선물한다. 건전한 육체(肉體)는 정신(精神)을 더욱 건전하게 한다.  정신(精神)이야말로 건전한 육체(肉體)의 밑거름이 된다.  그래서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도 인체에 가장 필요한 세 보물로 정(精), 기(氣), 신(神)을 들고 있다.  그리고 우리말에도 ‘정신(精神)이 나가다.’, ‘넋이 빠지다.’하여 정신(精神), 넋이 건전치 못하면 육체적으로도 얼마나 건전치 못한 증상들이 나타나는지를 여실히 표현하고 있다.  ‘간이 콩알만 하다.’, ‘쓸개 빼진 놈’, ‘심보 사납다.’, ‘비위 거스른다.’, ‘허파에 바람 든다.’하는 말로써 육체적 여러 증상들이 모두 정신(精神)의 건전성이나 불건전성에 의해 좌우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여기고 있을 정도이다.  한의학(韓醫學)에서는 기쁨, 노여움, 슬픔, 공포 등 일곱 가지 정.. 2025. 3.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