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질병과 음식247

결핵(結核)에는 이런 식품이 효과 있다. 결핵(結核)이 있을 때에는 현미식초를 커피 잔 한 잔의 생수에 3~4티스푼씩 타서 공복에 마신다.  만약 속이 쓰리면 우유에 식초를 넣어 요구르트처럼 만들어 먹는다.  이런 방법도 있다.  먼저 씻은 달걀을 물기 없이 닦아 컵에 넣고 식초를 달걀이 잠기도록 붓는다.  그런 다음 입구를 랩으로 막고 냉장고에 넣어 4~5일 후 달걀 껍질이 흐물거릴 때 껍질 속의 얇은 막을 집어내고 달걀을 식초에 고루 잘 섞은 뒤 컵 한 잔의 물에 1큰 수저씩 타서 하루 2회 공복에 마신다.  결핵(結核)에는 솔잎도 효과가 있다.  솔잎을 씻어 물기를 제거한 후 흑설탕을 켜켜이 채운 다음 밀봉하여 상온에 둔다.  3~4주쯤 지나서 솔잎이 떠올랐을 때 여과하여 생수에 20㏄씩 타서 마시거나 참깨 2큰 수저를 씻어 볶은 후 곱게.. 2024. 5. 11.
폐질환(肺疾患)은 이렇게 치료한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 의하면 폐질환(肺疾患)에는 실증(實症)과 허증(虛症)이 있다.  폐질환(肺疾患) 실증(實症) 가운데 풍한(風寒)에 손상된 폐질환(肺疾患)의 경우에는 풍(風)과 한(恨)의 증상으로 발열(發熱), 오한(惡寒), 두통(頭痛), 체절통(體節痛), 맑은 콧물, 해수(咳嗽) 등이 있으며, 맑은 가래가 많이 나오고 백색의 설태(舌苔)가 낀다.  이때에는 소엽(蘇葉)이 효과가 있다.  깻잎과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는 소엽(蘇葉)은 감기 치료, 생선 식중독(食中毒)에 약효가 뛰어나고, 신경안정제(神經安靜劑) 역할도 하므로 하루에 20g씩 끓여 마신다.  폐질환(肺疾患) 실증(實症) 가운데 풍열(風熱) 또는 화열(火熱)에 의한 경우에는 풍(風)과 열(熱), 화(火)의 증상으로 열(熱)이 심하게 나고,.. 2024. 5. 10.
여름철 감기 다스리는 법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여름철 감기를 양서(陽暑)와 음서(陰暑)로 구별하고 있다.  양서(陽暑)는 고온에서 피로(疲勞)하여 오는 감기로 발열(發熱)이 심하다.  그리고 기관지염(氣管支炎) 타입, 이형폐렴(異型肺炎) 타임, 인후결막염(咽喉結膜炎) 타입 등으로 많이 나타난다.  음서(陰暑)는 지나친 냉방 등과 같이 몸을 차게 해서 오는 감기로 오한(惡寒)과 오풍(惡風)이 심하다.  그리고 비염(鼻炎) 타입, 소화기장애(消化器障礙) 타입, 류머티즘 타입으로 많이 나타난다.  감기에 걸리지 않으려면 영양을 충분히 고루 섭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특히 비타민과 칼륨 섭취에 신경쓰도록 하며, 과음(過飮)은 절대 피하도록 한다.  일단 감기에 걸렸을 때에는 휴식(休息)과 수면(睡眠)을 취하고, 목욕(沐浴)은 열.. 2024. 5. 9.
기관지천식(氣管支喘息)에는 배가 좋다. 배는 몸에 이롭고 성질이 순조로운 까닭에 이(利)의 의미를 붙여 이(梨)라 불리며, 약으로는 맛이 젖 같은 유리(乳梨), 과즙이 풍부한 아리(鵞梨), 향기가 좋은 소리(消梨)를 쓴다.  고기를 먹고 뒤탈이 생긴 때에는 배에 물을 붓고 끓여 마신다.  그리고 소화불량(消化不良)이나 구토(嘔吐)에는 배에 구멍을 뚫고 정향(丁香)을 박아 젖은 한지(韓紙)를 싼 다음 구워서 먹고, 소아(小兒)의 풍기(風氣)를 수반하는 열(熱)에는 배즙에 쌀가루를 넣어 죽을 쒀 먹으면 좋다.  당나라의 무종 황제는 심열병(心熱病)으로 고생했다는데, 백약이 무효했다고 한다.  심열병(心熱病)이란, 심장(心臟)에 화기(火氣)가 있어 얼굴이 벌겋게 달아오르고 가슴 속에 번열(煩熱)이 나며, 잠잘 때 불안해하고, 이를 갈 뿐만 아니라,.. 2024. 5. 8.
감기를 거뜬히 낫게 하는 비결 감기 치료에 효과적인 약술이나 약차는 없을까?  우선 청주 한 컵에 계란 1개를 넣고 반숙이 될 때까지 데워 마셔 보자.  그리고 나서 곧 이불을 덮고 땀을 내면서 한잠 자고 나면 거뜬해 진다.  과로(過勞) 뒤 감기로 식욕(食慾)이 떨어지고 속이 부글거리며 설사(泄瀉)가 날 때 또는 감기로 관절(關節)이 쑤실 때에는 자두술을 한 잔 마신 후 땀내면서 한잠 자고 나면 된다.  오공(蜈蚣)술은 내장을 제거한 닭의 뱃속에 지네 50마리를 넣고 소주로 끓여 만든 술인데, 한 잔 마신 후 땀을 내면 감기로 온몸이 쑤실 때 효과가 있다.  감기에 좋은 차로는 칡차, 소엽차, 당귀귤피차 등이 있다.  칡차는 칡뿌리를 끓인 차로서 1일 20g씩 끓여 수시로 마시면 된다.  이것은 감기 초기나 두통(頭痛), 오한(惡寒.. 2024. 5. 7.
기침이라고 다 같은 기침이 아니다. 기침은 다른 장기(臟器)의 병이 폐(肺)에 파급되어 발생하기도 하는데, 모든 기침은 일단 크게 외부 감염과 체내 손상으로 대별된다.  그리고 외부 감염은 풍(風) 기후와 건조(乾燥) 기후에 의해 주로 일어난다.  풍(風)에 의한 기침에는 또 다시 한기(寒氣)를 띠느냐, 열기(熱氣)를 띠느냐로 구별된다.  풍(風)에 한기(寒氣)를 겸한 것은 해수(咳嗽), 천식(喘息)하고 백색(白色)의 희박한 담(痰)을 뱉으며, 맑은 콧물이 흐르고, 몸은 찬데 발열오한(發熱惡寒)하며, 두통(頭痛)과 온몸에 통증이 온다.  이럴 경우에는 살구씨 6g에 소엽(蘇葉)과 귤껍질 20g을 함께 끓여 마신다.  이때 생강(生薑)을 넣으면 더욱 좋다.  풍(風)에 열기(熱氣)를 겸한 것은 해수(咳嗽)하되 그 기침소리가 무척 크고 호흡이.. 2024. 5. 6.
감기는 이렇게 하면 쉽게 고칠 수 있다. 일설에 의하면 아테네의 멸망은 감기가 원인이었다는 말도 있듯이 풍(風)은 만병의 근원이다.  감기는 풍(風)에 손상되면서도 한기(寒氣)를 띠느냐, 열기(熱氣)를 띠느냐에 따라 다르다.  풍(風)에 한기(寒氣)를 띤 풍한성(風寒性) 감기는 오한(惡寒)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재채기, 맑은 콧물, 기침, 두통(頭痛)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가래는 말갛다 못해 희박하고, 땀이 나지 않는다.  이럴 때에는 우선 동의보감(東醫寶鑑)에 나오는 총시탕(葱豉湯)을 먹어 보자.  이것은 파의 흰 뿌리와 된장을 함께 넣어 끓인 것이다.  아니면 차조기잎 즉, 소엽(蘇葉) 20g을 끓여 마시자.  기침이 날 경우엔 여기에 귤껍질을 같이 넣어 끓이고, 도라지를 먹는다.  풍(風)에 열기(熱氣)를 띤 풍열성(風熱性) .. 2024. 5. 5.
뇌종양(腦腫瘍)이 염려될 때 ◉ 뇌종양(腦腫瘍)이 염려될 때 “두통(頭痛)이 심하면 병원에 간다.” 뇌종양(腦腫瘍)의 증세는 두통(頭痛)이다. 뇌(腦)는 두개골(頭蓋骨)이라는 단단한 뼈로 둘러싸여 있다, 그래서 뇌(腦) 속에 종양(腫瘍)이 생기면 두개골(頭蓋骨) 내에 압력이 증가하고 두통(頭痛)이 생긴다. 그 밖에도 구토(嘔吐)나 구역(嘔逆) 같은 증상도 나타난다. 경련(痙攣)이나 현기증(眩氣症), 운동마비(運動痲痺), 언어장애(言語障礙), 정신장애(精神障礙)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수도 있다. “DHA가 많이 들어 있는 식품을 섭취한다.” DHA가 뇌(腦)에 영양을 주는 주요 요소다. 방어나 참치, 전갱이, 정어리 같은 등푸른생선에 많이 들어 있다. 또, 레시틴은 신경세포(神經細胞)를 지켜주는 기능을 하는데, 계란 노른자나 콩 제품.. 2024. 3. 22.
혈액암(血液癌), 피부암(皮膚癌)이 염려될 때 ◉ 혈액암(血液癌)이 염려될 때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 섭취가 도움이 된다.” 백혈병(白血病)이나 악성(惡性) 임파종(淋巴腫) 등 혈액(血液) 내에 비정상적인 세포가 증식하는 병을 혈액암(血液癌)이라고 한다. 혈액암(血液癌)에는 단백질이나 비타민 미네랄도 도움이 된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피로감, 숨참을 꼽을 수 있고, 열(熱)이 나기도 한다. 급성일 때는 피하출혈(皮下出血)이나 코피가 나고, 만성일 때도 상복부(上腹部) 불쾌감이 느껴질 수 있다. “고단백 식사를 하는 것이 좋다.” 악성화된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되면 체력이 떨어진다. 따라서 고에너지와 고단백의 식사를 하는 것이 좋다. 우유나 계란, 육류, 어류를 섭취하고 완전히 익혀서 먹도록 한다. 혈액(血液)을 정상으로 돌리고 체력(體力)을 회.. 2024. 3. 21.
간암(肝癌), 췌장암(膵臟癌), 대장암(大腸癌)이 염려될 때 ◉ 간암(肝癌)이 염려될 때 “간세포(肝細胞)를 파괴하는 것은 바이러스다.” 간암(肝癌)은 갑자기 걸리는 일은 거의 없다. 간(肝) 기능 저하에서부터 조용히 진행되기 시작해서 간염(肝炎)이나 간경변(肝硬變)을 거쳐 간암(肝癌)에 이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간(肝)은 다른 장기에 비해 재생능력이 월등하다. 따라서 알코올성 간염(肝炎) 초기일 때는 알코올의 섭취를 삼가면 간(肝) 기능을 정상화시킬 수 있다. “단백질이 높고 타우린 성분이 많은 조개류를 먹는다.” 간(肝) 기능이 좋아지려면 바지락처럼 단백질이 높고, 타우린이 들어 있는 음식을 많이 섭취하는 것이 좋다. 굴과 모시조개도 간(肝) 기능을 활성화시켜 준다. “비타민-C 섭취를 많이 한다.” 간(肝)이 안 좋을 때는 평소보다 비타민-C를 늘릴 필요가.. 2024. 3. 20.
유방암(乳房癌), 자궁암(子宮癌)이 염려될 때 ◉ 유방암(乳房癌)이 염려될 때 “비타민과 DHA가 치료에 효과가 있다.” 청어, 삼치, 정어리 같은 등 푸른 생선을 많이 먹고, 과일도 신경 써서 섭취하자. 호르몬과 관계되는 암(癌)에는 콩 제품도 도움이 된다. 배변(排便)을 촉진시키면 에스트로겐이 몸 밖으로 나오기 때문에 효과를 볼 수 있다. 식이섬유도 즐겨 먹기를 권한다. ◉ 자궁암(子宮癌)이 염려될 때 “비타민과 미네랄을 많이 섭취한다.” 키로틴과 비타민-C가 부족해도 자궁경부암이 생길 수 있다. 당근이나 피망, 파파야, 딸기 등을 통해서 듬뿍 섭취하자. 또 자궁체부암에 걸리면 동물성 지방을 줄여먹고 비타민과 미네랄을 많이 섭취하는 것이 좋다. DHA가 들어 있는 등 푸른 생선도 도움이 된다. 2024. 3. 19.
후두암(喉頭癌), 식도암(食道癌)이 염려될 때 ◉ 후두암(喉頭癌)이 염려될 때 “비타민-A를 많이 섭취한다.” 쉰 목소리가 3주 이상 지속되면 의심해 봐야 한다. 비타민-A를 듬뿍 섭취하기를 권한다. 비타민-A는 녹황색 채소를 통해 섭취할 수 있다. 특히 당근에 풍부하다. 또 점막(粘膜)을 강화해서 면역력(免疫力)을 높이려면 아연 섭취도 필수다. 굴 같은 조개, 갑각류, 돼지고기, 소고기 붉은 살, 스위트 콘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 식도암(食道癌)이 염려될 때 “편식(偏食)을 하지 말자.” 식도암(食道癌) 발생을 예방하려면 여러 종류의 음식을 골고루 조화롭게 먹는 것이 중요하다. 평소에 부족하기 쉬운 비타민-A와 식이섬유는 특히 신경을 써서 섭취하는 것이 좋다. 당근이나 시금치, 브로콜리 등 녹황색 채소를 듬뿍 먹도록 하자. 2024. 3. 18.
위암(胃癌), 폐암(肺癌)이 염려될 때 ◉ 위암(胃癌)이 염려될 때 “비타민-A, C, E를 적극적으로 섭취한다.” 항산화 작용을 하는 이 비타민들은 위암(胃癌)뿐만 아니라 모든 암(癌)을 예방해 준다. 또한 카레의 노란색 성분인 글루쿠민도 암(癌) 발생을 억제시켜 주고 면역 기능을 높여준다. 글루쿠민은 단무지나 머스터드에도 들어 있다. 제일 중요한 것은 소금 섭취를 10g 이하로 줄이는 것이다. 뜨거운 음식, 술, 담배도 조심해야 한다. ◉ 폐암(肺癌)이 염려될 때 “담배를 끊고, 비타민-A, B군을 많이 섭취한다. 담배를 끊고, 녹황색 채소와 장어를 적극적으로 섭취하자. 파파야에 들어 있는 비타민-C도 폐암(肺癌) 예방에 효과적이다. 녹차(綠茶)에 많이 들어 있는 카테킨도 폐암(肺癌) 예방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동물 실험 결과 조사됐다. .. 2024. 3. 17.
암(癌)에 도움이 되는 식습관 21세기에 이르러서도 암(癌)은 공포의 대상이며, 죽음을 연상시키는 단어로 자리 잡고 있다. 사망 원인의 1위를 차지하는 암(癌)은 조기 발견과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 하지만 무엇보다 예방이 우선이다. 최근에는 암(癌)을 유발하는 큰 요인으로 좋지 못한 생활습관과 식생활을 꼽는다. 암(癌) 예방을 위해서 식생활 개선에 관심을 갖자. ◉ 암(癌)은 우리 몸에 비정상적인 세포가 자라는 것이다. DNA에 상처가 난 세포가 증식하면서 암(癌)을 발병시킨다고 보면 된다. 유전(遺傳)과 가족력(家族歷)이 암(癌)의 가장 큰 원인이지만 그 밖에 환경적인 요소도 엄청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된 요소로는 역시 흡연(吸煙)과 음식(飮食)을 꼽는다. 그 외에 다이옥신과 같은 환경호르몬이나 방사선(放射線), .. 2024. 3. 16.
뇌혈관(腦血管)에 도움이 되는 식습관 우리에게는 뇌졸중(腦卒中)이라는 말로 더 익숙한 뇌혈관장애(腦血管障礙). 크게 출혈성(出血性)과 허혈성(虛血性)으로 나뉜다. 출혈성(出血性) 뇌질환(腦疾患)은 뇌동맥(腦動脈)이 터져서 출혈(出血)을 일으키고 뇌조직(腦組織)이 파괴되는 상태다. 출혈(出血)이 일어나는 장소에 따라 뇌출혈(腦出血), 지주막하출혈(蜘蛛膜下出血) 등으로 다시 나뉘게 된다. 한편 허혈성(虛血性) 뇌질환(腦疾患)은 일반적으로 뇌경색(腦梗塞)이라고 부르는 병이다. 혈전(血栓)에 의해 뇌동맥(腦動脈)이 막히는 등 혈류장애(血流障礙) 때문에 갖가지 증상이 나타난다. ◉ 원인 질병을 예방하는 식생활을 한다. 단백질이나 미네랄, 비타민이 부족하면 혈관(血管)의 영양상태가 나빠진다. 그렇게 되면 당연히 혈관(血管)이 잘 터지고 출혈(出血)도 .. 2024. 3.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