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방 칼럼

곡류와 궁합이 맞는 식품

by 예당한의원 2025. 4. 10.
반응형

찹쌀을 담은 자루를 쓰러뜨려서 바닥에 흩어지게 한 후에 찍은 사진과 흰색 바닥 위에 네모난 나무 도마를 두고 그 위에 희고 동그란 그릇에 대추를 가득 담아둔 것을 찍은 사진
찹쌀, 대추

1. 콩과 식초(食醋)

야생에서 채취를 한 완두통, 노란콩, 갈색콩, 검은콩 등을 깨끗하게 세척을 한 후에 하얀 바닥 위에 투명하고 동그란 통에 각각 반쯤씩 담아둔 것을 여러 개 놓아두고 찍은 사진

콩은 고단백식품으로 영양(營養)이 풍부하지만 소화흡수(消化吸收)가 어려워 날로 먹기 어렵다.

 

하지만 콩을 날로 먹을 수 있게 돕는 것이 바로 식초(食醋).

 

날콩과 식초(食醋)를 결합시키는 방법인데 이것은 식초(食醋)가 가지고 있는 몇 가지 역할 때문에 가능하다.

 

황갈색의 바닥 위에 네모난 식초 말통을 놓아두고 그 앞에 동그랗고 투명한 유리 그릇에 식초를 반쯤 담아둔 것을 놓아두고 찍은 사진
식초

식초(食醋)는 위액(胃液)의 분비를 촉진해 단백질의 소화(消化)를 돕기 때문에 체내에서 소화(消化)가 잘 되지 않는 콩의 결점을 보완한다.

 

 

2. 쌀과 쑥

야생에서 채취를 한 쌀을 대나무로 만든 동그란 바구니에 수북하게 담아두고 그 옆에 쌀 여러 포기를 함께 놓아두고 찍은 사진

쌀은 녹말과 단백질, 무기질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백질은 식물성 식품 중 가장 우수하다.

 

게다가 오래 두고 먹어도 영양(營養)의 손실이 거의 없다.

 

하지만 지방, 섬유소, 칼슘, 철 등이 부족해 다른 식품에서 따로 섭취해야 하는 특징이 있다.

 

이것을 보완해 주는 식품이 쑥이다.

 

야생에서 채취를 한 쑥을 깨끗하게 세척을 한 것을 하얀 바닥 위에 수북하게 놓아두고 확대를 하여 찍은 사진

쑥은 쌀에 부족한 각종 영양소가 풍부해 쑥과 쌀을 섞어 음식을 만드는 것은 아주 현명한 방법이다.

 

쑥은 잘 말린 후 삶아서 냉동해 두면 1년 내내 먹을 수가 있다.

 

 

 3. 된장과 부추

야생에서 채취를 한 콩을 삶아서 발효시킨 된장을 하얀 바닥 위에 하얗고 동그란 그릇에 가득 담아두고, 그 옆에는 된장을 담은 작은 뚜껑이 덮힌 항아리 2개를 놓아두고 찍은 사진
된장

 콩을 삶아 발효시킨 된장은 콩과 달리 소화흡수(消化吸收)가 매우 뛰어나고 비린내나 유해물질이 전혀 남아있지 않다.

 

 단, 소금의 함량이 많고 비타민-A, C가 부족하다는 것이 단점이다.

 

 이것을 해결해 줄 수 있는 식품이 부추다.

 

야생에서 채취를 한 부추를 깨끗하게 세척을 하고 손질한 것을 하얀 바닥 위에 네모난 나무 도마를 두고 그 위에 수북하게 놓아두고 찍은 사진
부추

 부추에는 체외로 나트륨을 배출시키는 성분이 있어 된장국을 끓일 때 부추를 넣으면 비타민-A, C는 보강하고 나트륨은 저하시키는 효과를 볼 수 있다.

 

 

 4. 찹쌀과 대추

야생에서 채취를 한 찹쌀 여러 포기를 왼쪽에 두고 오른쪽에는 찹쌀 열매의 껍질을 까서 하얀 속살이 드러난 찹쌀을 가득 놓아두고 그 위에 동그란 나무 그릇과 숟가락에 찹쌀을 가득 담아둔 것을 위에 놓아두고 찍은 사진
찹쌀

 찹쌀은 칼로리가 높고 소화(消化)가 잘 되므로 찰밥이나 떡, 미숫가루 등에 이용되는데 특히 비타민-B1, B2가 많이 들어 있다.

 

 게다가 질 좋은 단백질도 많이 가지고 있는데 단점이라면 지방이 적고 칼슘과 철분의 함량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점을 보완해 줄 수 있는 것이 대추와 참기름, 잣이다.

 

야생에서 채취를 한 빨간 대추를 깨끗하게 세척하고 건조시킨 것을 대나무로 만든 바구니에 가득 담아두고 찍은 사진
대추

 그 중 대추는 철분과 칼슘, 섬유질이 풍부해 찹쌀과는 아주 잘 맞는 식품이라 할 수 있다.

 

 잘 익은 대추를 쪄서 말렸다가 달여 먹으면 열()을 내리고 변()을 묽게 하여 변비(便祕)를 없애며 기침을 멎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 쇠약해진 내장(內臟)을 회복시켜 주고 원기(元氣)를 돋우어 준다.

반응형

'한방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산물과 궁합이 맞는 식품  (3) 2025.04.12
육류와 궁합이 맞는 식품  (3) 2025.04.11
수삼(水蔘) 보양탕(保養湯)  (3) 2025.04.06
홍소계육(紅燒鷄肉)  (3) 2025.04.05
군계주(軍鷄酒)  (3) 2025.03.27